메마른 꽃에서 ‘우주-시(宇宙-詩)’로 나아가기
심상용(서울대학교 미술대학 교수)
*
이 혜성 회화를 매혹적인 것으로 만드는 미학은 ‘정물(still life)’과 ‘풍경(landscape)’ 사이의 경계를 넘나드는 것에서 비롯되는 긴장감에서 온다. 장르 사이에 가로질러진 빗장이 풀려나가고, 두 개의 태도, 거리, 관점이 뒤섞이면서 생성되는 분위기, 절제된 울림, 톤과 뉘앙스다. 정물은 꽃이나 과일 등의 대상을 테이블 위에 고정해 놓고 깊이 관찰하는 것으로, 역사적으로건 예술적으로건, 외적 재현이건 내적 의미건 대체로 유한성과 덧없음을 상징하는 경우가 많다. 반면 풍경은 시각과 시야의 제한이 없는 무한 공간인 대기 가운데서 인식의 범주를 허무는 것으로, 영원과 보편의 거시적 차원과 그 앞에선 유한한 ‘나’의 대조, 삶과 죽음의 순환, 역사와 영토 등, 예술의 사유의 확장에 관여한다.
이 혜성의 회화에는 꽃과 식물에 대한 관찰과 세부 묘사를 동반하는 정물적 맥락과 그 작은 생명체들조차 생노병사(生老病死)의 유장한 법칙을 따르는 것에 대한 풍경화적 인식이 혼재되어 있다. 정물적인 풍경이거나 풍경적인 정물이다. 이혜성은 ‘사위어가는 식물들로부터 파생된 풍경’으로 표현한다. 이 풍경이 품고 있는 것은 깊고, 멀리 퍼져나가는 좋은 울림을 지닌 인식론이다. 작가의 글을 그대로 옮기자면 “제한된 시간과 공간 안에 한정되어 늘 살아가는 동시에 죽음과 소멸로 향하고 있는 유약한 인간의 삶의 모습”에 대한 인식론이다.
이를 시선의 맥락으로 보면, ‘관찰(Observation)’과 ‘관조(Contemplation)’의 길항에서 오는 긴장이다. 관찰은 가까운 거리에서 대상의 외양을 객관적으로 살피는 것으로, 그 주체는 기관으로서의 눈과 시지각이다. 관조도 보는 행위와 무관하지 않지만, 단지 보는 것을 넘어 심오한 사변을 동반한다. 대상에서 자각과 성찰의 계기를 발견하고 그 안으로 깊이 들어가는 정신의 일이다. 관조에선 눈을 열고 닫는 것보다 마음을 열고 닫는 것이 더 중요하다.
요약하면, 이혜성의 회화는 각각 정물과 풍경으로 대변되는 두 인식론적 층위의 감각적인 융합이다. 사물에 대한 근접한 관찰적 이해에 시간적인 추적을 더 하고, 그 위에 다시 개별 사물들의 속성만으로는 간과하기 쉬운 ‘우주-시(宇宙-詩)’의 면모, 즉 풍경적인 확장을 입힌 것에서 오는 관현학적 융합이다.
**
이 세계에서 꽃과 식물들은 단순한 대상 이상이다. 이를 이해하려면, 이 혜성의 회화를 현악기라고 상상해 보는 것이 도움이 된다. 꽃과 식물들, 메마른 꽃들의 사이를 채운 건초더미들은 그의 회화를 조율하는 기제로서, 곧 ‘현’과 같은 것이다. 고음부와 저음부를 구성하는 다양한 현들이 있다. 활(근조)이 그것들 위를 오가면서 장조와 단조, 환희와 혼돈, 낙원과 실낙원의 공존, 공명을 조율한다.
꽃이 시발점인 건 맞지만, 꽃은 어느덧 더 넓고 깊은 ‘우주-시(宇宙-詩)’의 호출에 대한 응답이 된다. 꽃은 충실하게 묘사되는 경우에도 꽃을 넘어선다. 그리고 꽃이 단순한 대상이 아닌 만큼, 이 회화도 단순한 재현 회화가 아니다. 추상의 경계를 신중하게 포용하기도 한다.
From Withered Flowers to a “Cosmic Poem”
Shim Sang-Yong (Professor, College of Fine Arts,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aesthetic that renders Lee Hye-seong’s paintings so captivating arises from the tension produced by crossing the boundary between still life and landscape. When the latch between these two genres is released, a space emerges where two attitudes, distances, and perspectives intermingle—creating an atmosphere of restrained resonance, tone, and nuance.
Still life traditionally fixes its subjects—flowers, fruits, and other objects—upon a table for close observation. Historically and artistically, such imagery, whether external representation or internal meaning, has often symbolized finitude and transience. Landscape, on the other hand, unfolds in the infinite expanse of air and space, dissolving perceptual boundaries. It engages with broader dimensions of eternity and universality, juxtaposing the finite “I” before the infinite, exploring the cycles of life and death, history and territory—thus expanding the field of artistic contemplation.
In Lee Hye-seong’s paintings, the still-life-like observation and detailed depiction of flowers and plants coexist with a landscape-like awareness that even these small life forms obey the same vast law of birth, decay, and death. Her works are both still-life landscapes and landscape still lifes. As the artist herself describes, they are “landscapes derived from withering plants.” This landscape harbors a profound epistemology—one that resonates deeply and spreads far. In the artist’s own words, it reflects “the frail human life that exists within limited time and space, ever moving toward death and disappearance.”
Viewed through the lens of perception, this tension unfolds between observation and contemplation. Observation involves the eye as an organ—a close, objective scrutiny of form and surface. Contemplation, while still an act of seeing, goes beyond sight; it is accompanied by profound reflection. It is the work of the mind discovering a moment of awareness and self-examination within the object, and entering deeply into it. In contemplation, it i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heart, not the eyes, that truly matters.
In summary, Lee Hye-seong’s paintings are a sensory fusion of two epistemological layers represented by still life and landscape. To the close observational understanding of objects, she adds the dimension of time, and upon that, she overlays a landscape-like expansion—a “cosmic-poetic” (宇宙-詩) aspect often overlooked when viewing individual objects in isolation. It is a symphonic integration of perception and philosophy.
In this world, flowers and plants are more than mere subjects. To grasp this, it helps to imagine Lee Hye-seong’s painting as a string instrument. The flowers, plants, and the piles of hay filling the spaces between the withered blossoms act as tuning strings within her painting. There are strings that make up both the high and low registers; the bow—symbolizing harmony or dissonance—moves across them, tuning the coexistence of major and minor, joy and confusion, paradise and loss, resonance and silence.
While flowers are the starting point, they soon become a response to the greater and deeper calling of a cosmic poem. Even when depicted faithfully, they transcend their own form. And because the flower is no mere object, this painting, too, is no mere representational art—it cautiously embraces the threshold of abstr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