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2016 신한은행 신한갤러리 영아티스트 선정 <Eternallife>개인전 평론

쇠퇴와 소멸, 그리고 영원
 
이혜성의 예술은 삶이란 무엇이며 현재는 어떠한지, 과연 우리는 소비사회에서 안전하다고 말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의식에서부터 출발한다. 물론 이러한 문제는 어제오늘의 일은 아니지만 이혜성에게는 이것이 작품을 관통하는 주요 화두가 된다.
그의 화면은 한 다발의 드라이플라워 또는 무수한 꽃과 풀들로 채워진다. 그런데 꽃이 주는 예쁘고 화려한 이미지와는 대조적으로 이미 시든 것 또는 시들어가는 것들로 즐비하다. 헤이그의 화가 요세프 이스라엘스(Jozef Israëls)처럼 노인을 등장시키지는 않았지만 모든 육체는 노화에 따라 쇠약해간다는 사실을 말하였듯이, 작가는 시들어가는 꽃의 모습을 통해 비유적으로 소멸을 말하고 있다.

“내 작업의 소재인 마른 풀, 마른 꽃들 역시 소멸의 과정을 거친 것들이다. 방 한가운데 매달려있던 꽃다발이 시들어서 죽어가는 과정을 관찰하며 작업이 시작되었고, 이러한 건초들을 모아 대상 자체에 집중하여 드로잉 하다가, 점차 건초더미들이 모이고 쌓여서 화면을 가득 채운 전면적인 회화로 확장되었다." (작가노트 중에서)
 
시든 풀과 꽃이 주는 이미지는 찬란하고 힘차기보다는 쓸쓸하고 울적한 것이다. 왕성한 혈기를 자랑하는 청년의 이미지라기보다 고독한 노인의 이미지에 가까우며, 형형한 낮의 이미지보다는 어스름이 내리는 저녁의 이미지에 가깝다. 작가는 왜 이런 장면에 눈을 돌리게 되었을까? 선인들은 우리의 삶을 ‘초로인생(草露人生)’, 즉 우리 인생을 풀잎위에 맺힌 이슬과 같다고 했다. 풀잎위에 맺힌 이슬이 무슨 힘을 쓸 수 있을까? 그의 화면에 쌓인 무수한 꽃과 풀들은 한때 자신을 자랑하는 영광의 날들이 있었을 것이다.  작가가 자신의 방에서 목격한 것은 바로 이러한 영광이 덧없이 사라진다는 엄연한 사실이었다. 모든 영광이 들의 꽃과 같이 떨어지고 풀이 시들어버리는 것을 인정하는 것은 쉬워도 그것을 나 자신의 일로 받아들이는 것은 결코 용이하지 않다. 잊혀지고 잃는 것이 너무나 두렵기 때문에 그것 자체를 인정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그의 인생에 대한 통찰은 초기작 <The Line of Paradise>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좁은 옷장안의 드레스가 걸려 있는 이 작품은 마치 정신이 빠져나간 육체가 줄지어 도열해있는 장면을 연상시킨다. 이 연작에서 작가는 드레스라는 이미지를 통해 현대인의 혼란스런 모습을 상기시킨다. 우리는 정신없이 하루를 보내지만 정작 내일을 생각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삶의 외양과 유행에 집착하는 사이 내적인 삶을 돌보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의 작품은 소재를 드레스에서 시든 꽃으로 옮겨오면서 의미내용이 더욱 분명해진 것을 알 수 있다. 즉 드레스를 소재로 한 작품이 인생의 종착지에 대해 질의하였다면, 시든 꽃에 있어서는 삶의 좌표를 어디에 설정해야 할지 질의하고 있다. 어찌 보면 그의 예술은 염세주의나 회의주의로 오인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런 시각은 그의 작품을 잘못 해석한 것이다. 그가 작품내용과 모순된 <Eternallife> 또는 <Eternality>라는 타이틀을 고수하는 이유는 냉철한 삶의 인식에 기인한 것이다.
 
“시들어버린 꽃은 언젠가 죽음을 맞이해야 하는 무력한 인간을 비유하는 상징물 중 하나이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새싹이 나고  꽃이 피어나고 열매를 맺고 시들어지는데, 식물체에서의 소멸 시기는 생성의 시점으로 가는 필연적인 과정이 되며, 되살아나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죽음을 경험해야 한다는 것이다.” (작가노트 중에서)
 
왜 우리는 짧은 인생을 사소한 것들에 그토록 연연하며 보내는 걸까? 과거의 화가들이 메멘토 모리로 삶의 유한성을 표현한 것은 시대의 오만한 수호자들에 대한 경고였다. 지금도 그런 일이 안 일어난다고 말할 수 없다. 과거보다 더하면 더했지 절대로 부족하지 않다. C. S 루이스(C,S Lewis)는 소비사회에서 우리가 ‘무한한 만족’보다는 ‘즉각적인 만족’을 열망하도록 다시 프로그램 되었다고 지적한 바 있다. “무한한 기쁨이 우리에게 주어져 있는데도 술과 섹스와 야망 가운데서 배회한다면 우리는 마지못해서 살아가는 존재이다. 바닷가에서의 휴가 제안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상상할 수도 없기 때문에 우리는 빈민굴에서 진흙 파이나 만들고 싶어 하는 무지한 어린 아이와 같다”(C.S Lewis, The Weight of Glory)고 했다. 이렇듯 소비지상주의가 초래한 위기는 욕망을 끝없이 부추기는데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존재이유보다 ‘진흙파이’를 만드는 것과 같이 훨씬 못한 욕망에 만족하도록 유도된다는 것이다.
루이스의 말처럼 우리는 ‘진흙파이’에 만족한 나머지 ‘무한한 기쁨’이 무엇인지 파악하지 못한다. 작가가 시든 꽃에 시선을 돌린 진짜 이유는 인생무상, 즉 바니타스(Vanity)를 깨달아야 비로소 ‘무한한 기쁨’에 도달할 수 있다는 진실을 일깨워준다.
바니타스 작품을 보면 얼마나 우리의 삶이 구겨진 휴지조각처럼 초라해 보이는지 모른다. 즉 자아와 인간성이 상실되어가는 것을 목격할 수 있다. 예술이 도움을 주는 것은 사물들의 종말과 욕망의 종착점에 대비해 우리의 합리적, 감각적 자아를 준비시켜주는 상상의 힘을 지니기 때문이다.
이혜성의 작품은 역설적으로 한정된 시간과 공간속의 인간이 지닌 삶이 얼마나 의미있는 것인지 인식시켜준다. 유한함과 덧없음이 꼭 부정적인 것만은 아니다. 그것들이 있기에 더욱 영원한 가치가 소중한 것인지 깨닫게 되기 때문이다. 그의 바니타스 회화는 우리로 하여금 영원성에 대해 진지하게 숙고해보고 거기에서 소중한 가치와 찬란한 보화를 발견하라고 주문한다. 우리 삶을 보다 의미 있고 숭고하게 펼쳐갈 수 있도록 충격을 던지는 것, 거기에 이혜성의 시선이 향해 있지 않을까?

서성록(안동대 미술학과 교수)

 

Deterioration, Annihilation and Eternity

- Lee Hyeseong’s Vanitas painting–

 

Lee Hyeseong's work initiates from the critical mind that whether it can be said we are safe within the consumer society. Of course this issue has been discussed for a long time however it became major theme in penetrating her work.

Her Canvas is filled with either bunch of flowers or abundant flowers and grass. However, in contrast to the beautiful and fancy image of flowers in general, the flowers described in canvas are rather withered or becoming withered. Unlike Hague’s artist Jozef Israëls presented old man to describe that all physical body become weak as they are aging, she is metaphorically describing annihilation through withering flowers.

 

"My drawing objects, withered grass and withered flowers all went through the period of annihilation. I started drawing this work by observing the bunch of flowers withering in my room. I gathered dried flowers and grass, focused drawing the objects themselves at first and then as more and more dried objects were gathered, my work has been extended to whole canvas” (from artists’ note)

 

The image of withered flowers and grass gives the gloomy and depressed images rather than splendid and energetic image. Its image is closer to lonely old man than powerful young man, dusky nighttime than glaring daytime. How did the artist become focused on these kinds of scenes? Foregoers said that our life is dew on the grass. How can dew on the grass exert power? Abundant flowers and grass on her canvas once would have glorious days of showing off themselves. How shocking it would have been when they faced the reality of short life. The undeniable fact that Lee Hyeseong observed in her room is that this kind of glory can vanish fleetingly. Although it may be easy to admit that all the glory can fall like flower and wither like grass, it is hard to accept the fact to my own life. There is a tendency not to admit that fact as people are afraid to accept to become forgotten.

Her insights on the life are also shown her initial work <The Line of Paradise>. Dresses hanging in the narrow closets bring the image of the scene that the bodies are lined up without soul. The series remind confused modern people through the images of dresses. We busily spend the days however do not think about tomorrow and do not take care of inner life while obsessing with appearance and trends.

The meaning of her work became clearer as she shifted the objects from dresses to withered flowers. That is, she was questioning on the final destination of life within the work through dresses, she is now questioning where to set the life coordinates. In some way, her work can be misinterpreted as pessimism or skepticism. However that point of view may misinterpret her work. The reason she is adhering the titles such as <Eternallife> or <Eternality>, which are contradictory to the contents of works, comes from the critical awareness on the life

 

“Withered flower is a representative figure for helpless human beings that will eventually end up with deaths. A flower goes through life and death cycle that it blooms, withers and then it sprouts again and begins to make leaves, flowers and then it withers which goes on and on. The period of annihilation for a plant is essential in order to regain life” (from artists’ note)

 

Why do people consume such as short life worrying about minor matters? Artists in the past described limitation of life through mementomori in order to warn arrogant tutelary. It is hard to say that these things are not happening at the moment. It is rather happening more than the past. C.S Lewis pointed out that we are re-programmed to desire for “instant satisfaction” than “infinite satisfaction” in the consumer society. “Although we are given with infinite pleasure, if we are wandering around within the desire for alcohol and sex, it would mean that we are just living the life reluctantly.” It is described in the <weight of glory> by C.S Lewis, that we are “ like an ignorant child who wants to go on making mud pies in a slum because he cannot imagine what is meant by the offer of a holiday at the sea” (C.S Lewis, The Weight of Glory). The crisis that was brought by the consumerism is not to incite desire endlessly but to induce us to get satisfied with the desires like “making mud pies” which is far below than our reason to exist.

We do not recognize what the “infinite pleasure” is as we are already satisfied with “mud pie” as described by C.S Lewis. The actual reason Lee Hyeseong was turning her focus on the withered flower is to arouse the truth that human beings can reach to the “infinite pleasure” by realizing the frailty of human life, that is , the Vanitas (Vanity) .

When looking at works from Vanitas, our lives seem very shabby like wrinkled paper. In other words, we can observe our ego and human nature are becoming lost. The Art has the power of imagination to help us to prepare our reasonable and sensible egos in preparation to the destination of desire and the end of objects.

Lee Hyeseong’s works give us awareness in paradoxical way that human life has such meanings and values given the limited time and space. The limitation and vainness is not always negative as we realize the value of eternality through them. Her Vanitas painting tells us to sincerely consider on the eternality and to find precious values and splendid treasures. Giving impacts to us to have more meaningful and noble lives, isn’t that what her point of view is directing at?

 

Sungrok Seo (Professor of Fine Arts, Andong University)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