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작가노트 (2025) <Photosynthesis of the Soul / 영혼의 광합성> 

 

어느 날, 집 앞 공터에 심겨 있는 맨드라미를 보았다.

늘 스쳐 지나던 자리였지만, 그날만큼은 그 붉은 꽃에 시선이 꽂혀 한동안 바라보았다.

이글거리는 햇볕 속에서도, 거센 바람 속에서도, 심지어 담배 연기 속에서도,

맨드라미는 홀로, 변함없이, 꼿꼿하게 하늘을 향해 서 있었다.

꽃이 피고 난 후에도 오래도록 시들지 않고, 아름답고 건강하게 서 있는 그 모습이 나에게는 경이로워 보이기까지 했다. 그 시기, 나는 숨을 쉬는 것도, 물 한 모금 삼키기도 어려울 만큼 몸과 마음이 무너져 있었다. 그런 내게 그날의 장면은 강렬한 시각적 경험으로 각인되었고, 내 영혼 속 깊은 곳으로 빛이 스며드는 계기가 되었다.

 

햇빛을 머금은 식물은 양분과 산소를 스스로 만들어 내며, 생명의 숨결을 유지 시킨다.

‘영혼의 광합성(Photosynthesis of the Soul)'은 메마른 육체와 어두운 심리(心理) 속에서 빛을 받아들이고, 그 빛을 마음의 양분으로 바꾸어 다시금 생기(生氣)를 얻길 염원하는 개인적 바람 속에서 지었다.

이번 전시의 작품들은 바로 그 빛을 화폭 위에 쌓아 올리는 과정에서 나왔고, 세밀한 붓질로 식물의 결을 따라가거나, 여러 방향의 터치로 바람의 흐름을 그리면서 화면을 구성하였다.

또한, 특정한 순간을 고정하기보다, 시간의 흐름 속에서 끊임없이 변화하는 나의 감정과 내면의 풍경을 반복되는 붓질과 변화하는 색채, 물감이 번지고, 흘러내리며, 다시 쌓이는 등 여러 회화적 과정들을 통해 담고자 했다.

 

Artist’s Note (2025)
Photosynthesis of the Soul

One day, I noticed a cockscomb flower planted in an empty lot near my home.
It was a place I had always passed by without a glance, but that day, my eyes were caught by the vivid red bloom, and I stood for a long while, watching it.
Even under the blazing sun, through strong winds, and even amidst drifting cigarette smoke, the cockscomb stood alone—upright, unwavering, facing the sky.
Long after blooming, it remained beautiful and full of vitality, unwithering in the heat, and to me, that sight felt almost miraculous.
At the time, I was so broken in both body and spirit that even breathing or swallowing a sip of water felt impossible. That scene became a powerful visual experience—one that imprinted itself on me deeply, allowing light to seep into the darkest corners of my soul.

A plant that absorbs sunlight creates its own nutrients and oxygen, sustaining the breath of life.
“Photosynthesis of the Soul” was born from my personal wish—to absorb light into a withered body and weary mind, to transform that light into nourishment for the heart, and to regain vitality once again.
The works in this exhibition emerged from that process—of layering light upon the canvas, following the grain of plants with fine brushstrokes, and painting the flow of wind through gestures that move in different directions.

Rather than fixing a single moment, I sought to capture the constant flux of my emotions and inner landscapes as they changed with time—through repetitive brushwork, shifting colors, and the many painterly processes of bleeding, flowing, and layering paint anew.

작가노트(2021) <Nameless Flowers/ 이름 없는 꽃>

나는 꽤 오래 전부터 여러 경로를 통해 수집한 식물들을 작업실에 모으고 있다. 최근에 수집해서 싱싱한 식물도 있지만, 대부분의 것들은 바싹 마른 꽃이거나 짓무르거나 곰팡이가 피어 그 형체를 알아보기 힘든 꽃들이다. 다양한 종류의 식물들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점차적으로 색이 변하고, 질감이 변하고, 저마다의 냄새를 풍기며, 마치 찌꺼기나 재와 같이 되어버린 현상들을 감각적(시각적, 촉각적, 후각적)으로 경험하면서 작업이 출발한다.

지난 몇 년간 이러한 식물들에서 파생된 풍경들을 그려왔다. 그 풍경 안에는 삶에서 죽음에 이르는 과정들이 혼재되어있는 동시에  현실에서 존재하는 풍경과는 또 다른 세계가 회화적 이미지로서 덧입혀져 있다. 나의 기억과 감정이 담긴 대상들이 함께 뒤섞여 부패하며 이름 모를 것들이 되어가는 과정에 주목하고, 그것들이 집적되어 한데 널브러진 모호한 형상을 화면 가득 풀어낸다. 그리고 이를 하나의 화면에 담기도 하고, 여러 장면으로 나누어 연결되게 그리기도 한다. 죽음 혹은 소멸이라는 상태는 그것의 전제인 삶의 다양한 순간들과 분리되어 있는 것이 아니고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는 제한된 시간과 공간 안에 한정되어 늘 살아가는 동시에 죽음과 소멸로 향하고 있는 유약한 인간의 삶의 모습에서 기인한다.

나는 종종 인간이란 존재가 너무나 연약하고 불온한 존재라는 생각을 한다. 알 수 없는 질병에 걸리거나 천재지변을 겪거나 전염병으로 덧없이 죽게  되는 모습을 볼 때 더욱 그렇게 느낀다. 아무리 현대의 과학 기술이 발전하더라도, 인간의 노화를 막을 수 없고 죽는 것을 막을 수가 없다. 일상 속에서 그러한 인간의 유약한 모습을 마주할 때마다, 어쩌면 그 삶이 만지기만 해도 부서질 것 같은 시든 꽃이나 마른 이파리의 삶과도 비슷하다는 생각이 든다. 미술 작품 뿐만 아니라 시나 문학 작품 속에서도 인간의 생애주기를 빗댈 때 식물의 생애주기를 자주 언급하는데, 그 이유는 인간이 태어나서 성장하고 죽는 과정을 식물에서 새싹이 나고 꽃이 피고 열매를 맺고 시들고 떨어지는 일련의 과정들로 가장 잘 축약해서 보여주기 때문일 것이다. 나는 이러한 인간과 식물의 은유적 관계 및 현상들을 바탕으로, 그 ‘끝’에 대한 질문과 생사의 과정에 대해 그리고자 한다.

한편, 여러 회화적 과정들이 생성되고 소멸하며 결과물로 나오는 회화는 내게 가장 불온하면서도 천착할 수 밖에 없는 매체로 느껴진다. 화면 안에서 이루어지는 몸짓들이 축적되어 계속적으로 변화하는 회화 작업은 늘 희열과 절망을 번갈아 안겨주며, 어디가 끝인지 알 수 없는 결과물들을 만들어 내기 때문이다. 나는 대상을 사실적으로 재현하기보다는, ‘그리기’에 천착하여 회화적 이미지로 담아내고자 한다. 그에 따라, 점과 선으로 이루어내는 이름 모를 풀과 꽃들의 형상 위에 물감이 번지고 흘러내리는 등의 여러 회화적 과정들이 이루어지고, 식물을 그리기 위해 주로 사용하는 가는 붓의 반복적인 터치는 화면 안에서 행해지는 수많은 몸짓을 재현한다. 마치 미약한 존재들을 건드리듯이 가늘고 여린 세필로 터치를 쌓아 나가고, 쌓아놓은 선들을 닦아내거나 긁어내며 그 위에 또 터치들을 새긴다. 나는 끊임없이 반복되는 이러한 몸짓을 통해 '그린다는 것'에  더욱 집착하게 된다.

Artist’s Note (2021)
Nameless Flowers

For quite some time, I have been gathering plants from various sources and collecting them in my studio. Some of them are freshly picked, still alive, but most are dried, decayed, or so mold-covered that their original forms are barely recognizable. My work begins with the sensory experience—visual, tactile, and even olfactory—of witnessing how these plants change color, texture, and scent over time, transforming into something like residue or ash.

Over the past several years, I have painted landscapes derived from these plants.
In these landscapes, the processes of life and death coexist, while another world—different from the one we inhabit—overlays itself as a painterly image. I focus on the transformation of things once familiar—imbued with memory and emotion—as they decay and merge into nameless forms. I fill the canvas with these ambiguous shapes, sometimes as a single image, sometimes divided into multiple, connected scenes.

The state of death or extinction, I believe, is not separate from the many moments that constitute life—it is inherently connected to them. This stems from the fragile nature of human existence: beings confined to a limited time and space, living while always moving toward death and disappearance.

I often think that human beings are frail and unstable creatures.
Watching people fall ill from unknown diseases, perish in natural disasters, or die helplessly in epidemics only reinforces this thought. No matter how advanced science becomes, humanity cannot halt aging or escape death. Each time I encounter the fragile nature of human life, I’m reminded how much it resembles the life of a wilted flower or a dried leaf—so delicate it might crumble at a touch.

In art and literature alike, the human life cycle is often compared to that of plants—because the journey of birth, growth, and death can be most clearly expressed through the seed that sprouts, the flower that blooms, the fruit that ripens, and the leaf that withers and falls. Based on these metaphorical parallels between human and plant life, I explore the question of “the end”—and the intertwined processes of life and death.

At the same time, painting itself—where images are continuously formed and dissolved—feels to me like the most precarious yet irresistible medium.
Each gesture that unfolds on the canvas accumulates, transforms, and alternates between joy and despair, creating works whose end is never certain.
Rather than pursuing realistic depiction, I am drawn to the act of painting itself—to the physical gesture of creating an image. As a result, paint bleeds, flows, and layers over the shapes of nameless plants and flowers made of dots and lines. The repetitive, delicate strokes of a fine brush—commonly used to depict plants—recreate countless gestures within the canvas.

Like touching fragile beings, I layer these faint, tender lines, sometimes wiping or scratching them away, then inscribing new ones atop the surface.
Through this ceaseless repetition of gestures, I find myself ever more obsessed with what it means to paint.

_ 작가노트(2016) <Eternallife>

<Vanity of vanities; all is vanity 헛되고 헛되며 헛되고 헛되니 모든 것이 헛되도다>, <Memento mori 죽음을 기억하라> 이 말들은 인간의 유한함과 물질의 헛됨, 세상 지식의 허무함, 시간의 유한함을 의미한다. 현대의 과학과 지식, 기술이 아무리 발달하더라도 재앙, 천재지변, 전염병, 노화 등을 피할 수 없는 게 인간이다.

시들어버린 꽃은 언젠가 죽음을 맞이 해야 하는 무력한 인간을 비유하는 상징물 중 하나이다. 화려하게 피어났던 꽃이 금방 시들어지고 그 뒤를 이어 새로운 싹, 잎, 꽃이 피어난다. 식물체에서의 소멸 시기는 새로운 생성의 시점으로 가는 필연적인 과정이 되며, 되살아나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죽음을 경험해야 한다는 것이다.

내 작업의 소재인 마른 풀, 마른 꽃들 역시 소멸의 과정을 거친 것들이다. 방 한가운데 매달려있던 꽃다발이 시들어서 죽어가는 과정을 관찰하며 작업이 시작되었고, 이러한 건초들을 모아 대상 자체에 집중하여 드로잉 하다가, 점차 건초더미들이 모이고 쌓여서 화면을 가득 채운 전면적인 회화로 확장되었다.

<Vanity of vanities; all is vanity>, <Memento mori> These phrases represent the limitation of human beings and time as well as the vanity of all matters and knowledge. Human beings can not avoid natural disaster, diseases and human aging even though contemporary science, technology and knowledge has been advanced.

 Withered flower is a representative figure for helpless human beings that will eventually end up with deaths. A flower goes through life and death cycle that it blooms, withers and then it sprouts again and begins to make leaves, flowers and then it withers which goes on and on. The period of annihilation for a plant is essential in order to regain life.

My drawing objects, withered grass and withered flowers all went through the period of annihilation. I started drawing this work by observing the bunch of flowers withering in my room. I gathered dried flowers and grass, focused drawing the objects themselves at first and then as more and more dried objects were gathered, my work has been extended to whole canvas.

All Images Copyright, LEEHYESEONG © 2019

  • Grey Facebook Icon
  • Grey Instagram Icon
bottom of page